반응형 주식390 티앤알바이오팹(246710) 확장성이 커지는 바이오 플랫폼 기업 오늘의 게시물은 키움증권의 리포트를 참고했습니다. 티앤알바이오팹은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해 생분해성 의료기기, 바이오잉크, 오가노이드(인공장기), 3D 프린팅 세포치료제 등을 개발 및 상용화하는 기업이다. Hard Tissue 와 Soft Tissue로 구성된 Scaffold는 각 글로벌 기업과의 계약을 통해 상업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동사의 중장기적 성장동력인 iPSC 세포치료제 역시 국내 바이오기업과의 업무협약을 통해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iPSC(역분화줄기세포)에 관심을 가져야 할 때 iPSC(역분화줄기세포)는 모든 세포로 분화가 가능하면서 윤리 문제에서는 자유로워, 기존 줄기세포의 단점을 해소해줄 차세대 치료 물질로 꼽힌다. 동사는 iPSC를 이용하여 세포치료제 시장으로의 확장을 목표.. 2021. 11. 28.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 해외 수주 사이클 재개 기대 오늘의 게시물은 키움증권의 리포트를 참고했습니다. 방산 해외 수주 공백, 내년 감익 우려, 누리호 발사 아쉬움 등이 주가의 발목을 잡고 있다. 이에 대해 디펜스의 해외 수주가 재개될 예정이고, 민수 부문의 체질 개선 성과가 돋보이며, 위성 및 우주 사업의 장기 성장성이 부각될 것이다. 디펜스는 호주 K9 프로젝트를 시작으로 내년 상반기 중동 비호복합 수주, 호주 랜드400 우선협상 대상자 선정 일정으로 이어지는 이벤트를 주목해야 한다. 디펜스 해외 수주 재개 사이클 기대, 민수 체질 개선 올해 지속적인 호실적에도 불구하고 주가가 약세를 보이고 있는 배경은 1) 코로나 환경에서 방산 부문 해외 수주 공백이 길어지고 있고, 2) 민수 부문의 극적인 실적 이후 역기저 효과로 내년 감익 우려가 반영되고 있기 때.. 2021. 11. 28. 대웅제약(069620) 4분기도 이 느낌 그대로 오늘의 게시물은 한화투자증권의 리포트를 참고했습니다. 대웅제약의 4분기 실적은 본업과 나보타 수출 호조로 호실적을 기록 할 전망입니다. 올 초부터 이어진 수익성이 높은 사업의 성장과 일회성 소송비용 감소로 전반적인 이익수준도 높아졌습니다. 4분기는 더 좋아진다 대웅제약의 별도기준 4분기 실적은 매출액 2,714억 원(YoY +12%), 영업이익 238억 원(YoY +161%)으로 추정한다. 크레젯(고지혈증 치료제), 액시드(위궤양제) 등 자체품목 성장으로 ETC매출은 2,000억 원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된다. 게다가 제품비중 확대로 인한 원가율 개선으로 영업이익률은 8.8%를 기록할 전망이다. 2022년은 펙수프라잔 국내 시판으로 추가적인 상승도 기대된다. 소송비용 감소도 이익 성장 요인이다. 미국에서 .. 2021. 11. 27. 덕산네오룩스(213420) 유상증자와 전환사채 발행 통한 자금 조달 오늘의 게시물은 이베스트투자증권의 리포트를 참고했습니다. 신규 자금 조달에 따른 희석 효과 미미 11월 24일 유상증자 450억 원(제3자 배정방식), 전환사채 200억 원 규모의 자금 조달 계획을 공시했다. 두 방식 모두 발행 대상은 SVIC 55호 신기술사업투자조합이며, 이로 인한 희석 효과는 약 4.8%(유상증자 방식 3.4%, 전환사채 방식 1.4%)이고, 자금의 사용 목적은 제품 개발 및 양산을 위한 시설투자라고 언급했다. 성장을 위한 기초 체력 강화 3Q21말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은 620억 원이었고, 11월 18일 천안테크노파크 토지 구매로 196억 원(잔금 2023.12.31 예정)을 사용했기에 이번 자금 조달 전 가용 현금성 자산은 약 420억 원이라고 추정된다. 이번 증자와 전환사채 발.. 2021. 11. 26. 이전 1 ··· 83 84 85 86 87 88 89 ··· 9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