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과 경제

KB금융(105560) 연간 4조 원 중후반의 이익 체력 확인

by 덕민강 2021. 10. 24.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KB금융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KB금융은

10.22일 종가 기준 시가총액 23조 9,505억 원으로 코스피 15위에 위치해있는 은행 중 하나입니다.

오늘의 게시물은 한화투자증권의 리포트를 참고했습니다.

 

 

3Q21 지배 순익 1조 2,979억 원(+11% YoY), 기대치 상회

KB금융의 3Q21 지배주주 순이익은 1조 2,979억 원(+11% YoY, +8% QoQ)으로 당사 추정치를 10%, 컨센서스를 7% 상회. 증시 거래대금 감소에도 불구하고 IB 실적호조로 증권사 수수료가 전분기 수준으로 유지됐고, 대손충당금이 추가 감소한 점이 호실적의 원인. 계절적인 한계에도 불구하고 사업비율 및 yield 개선으로 대폭 증익을 나타낸 손보(+70% QoQ, +196% YoY) 실적도 고무적

순이자마진(NIM)은 지주 +1bp QoQ, 은행 +2bp QoQ로, 유가증권 및 가계대출에서 spread가 개선된 것으로 파악. 2022년 NIM은 +5bp YoY 기대

은행 원화대출은 타행의 공급 중단에 따른 풍선효과로 3.4% QoQ 증가. 중견기업 등을 대상으로 대출공급 집중도를 높이면서 연간 8% 내외의 성장률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

대손비용률은 0.21%로 한진중공업(workout 종료) 환입을 영향을 제외해도 여전히 낮은 수준에서 관리되는 것으로 확인

 

 

2022년 순이익 4% 상향, 목표주가 5% 상향 조정

3Q21 실적 호조에 더해 이익 체력 증가를 향후 추정치에 반영하면서 KB금융의 지배 순익 추정치를 2021년, 2022년 각각 3%, 4% 상향. 이에 따른 기대 ROE 상승으로 목표 PBR을 0.62X로 제시하며 목표주가를 5% 상향함

최근 한 달 간 KOSPI를 14%p 상회한 주가수익률에도 불구하고 동사의 12mf PBR은 0.45X에 불과. 완성된 은행-증권-보험 포트폴리오로 안정성과 수익성이 담보된 가운데, 적극적 주주환원책을 이행할 수 있는 자본여력을 긍정적으로 평가. 2021년 기대 DY는 5,3%(기말 4.0%), 향후 3개년 기대 DY는 6%로 배당 매력도 유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