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제활동1 연준이 생각하는 완전고용이란 무엇인가? - 완전고용 책무의 유래와 정의 : 1977~78년 연준법 개정 계기. 정의는 태생적으로 모호 - 완전고용 판별의 기준 : 실업률, 경활률, 고용률, 사직비율, 노동보상지수 등 - 완전고용 달성 여부 평가 : 완전고용으로 인식되는 수준에 대부분 근접한 상태 들어가며 완전고용이 무엇이며, 어떤 잣대로 측정하는가? 주요국 중앙은행이 물가안정을 유일한 명시적 통화정책 목표로 제시하고 있는 것 과는 달리, 연준은 의회가 부여한 완전고용과 물가안정이라는 이중책무(dual mandate) 하에서 통화정책을 운영 중이다. 물가안정이라는 목표는 정량적인 기준 이 세워져 있다. 2012년에는 PCE 디플레이터(이하 PCE물가로 통칭) 2% 목표를 공식화했고, 비대칭적 평균물가목표제 하에서는 PCE 물가기준 2%를 소폭 .. 2021. 12. 21.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