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과 경제

바이젠셀(308080) 앞으로가 기대되는세포치료제 기업

by 덕민강 2021. 12. 27.
반응형

 

 

출처 : 대신증권 리포트

 

 

면역항암, 면역억제제 플랫폼 기반 세포치료제

- 면역항암/면역억제제 플랫폼 기반 세포치료제 개발 전문 바이오기업

- 주요 플랫폼 기술

1) 바이티어(ViTier) : 항원 특이 살해 T 세포(CTL) 기반 자가 치료제,

2) 바이레인저(ViRanger) 동종 감마델타 T 세포치료제 (VR-CAR), 3) 바이메디어(ViMedier) 제대혈 줄기세포 유래 골수성억제세포(MDSC) 기반 면역 항암제 및 면역억제치료제 개발 중

 

 

VT-EBV-N, NK/T세포 림프종 임상 2상 순항 중

- VT-EBV-N은 항원 특이 살해 T 세포(CTL) 자가치료제로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EBV) 양성 절외 NK/T세포 림프종 환자 대상 국내 임상 2상 진행 중. ‘22년 1분기 환자 모집 완료 후 2년 추적관찰 완료되는 ‘24년 상반기 임상 종료 예상

- VT-EBV-N은 연구자 주도 임상 1상에서 10명 중 9명이 재발 없이 5년간 장기 생존하며 무재발생존율 90%로 확인되어 2상 성공에 대한 기대감 높음

- NK/T세포 림프종은 희귀난치성 혈액암으로 미국이나 유럽 대비 한국, 중국 등 아시아 국가에서 발병률이 더 높으나 고용량 항암화학요법, 방사선치료 외 표준 치료법이 없어 미충족 수요 높음. 동사는 중국 내 합작법인(JV) 설립 통해 본격 적으로 기술이전 추진 기대

- 2022년 하반기 비인두암, 위암, 다발성경화증 등 EBV 발현 기타 적응증으로 개발 확대 및 글로벌 임상 1상 진입 예정

 

 

감마델타 T 세포치료제, 차세대 세포치료제로 부각 기대

- Adicet Bio, 최근 동종 감마델타 T 세포 임상 1상에서 비호지킨 림프종 환자 4명 중 2명 완전관해, 1명 부분관해 도달했으며 (ORR 75%, CR 50%) 이식편대 숙주병 등의 심각한 이상반응 사례 없었던 것으로 발표. ‘Off-the-shelf’로 개발 가능한 감마델타 T 세포치료제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최초 임상 결과로 글로벌 기업들의 지속적인 관심 확대 기대

- 동사의 ViRanger 플랫폼 기반 동종 감마델타 T 세포치료제 ‘24년 임상 1상 진입 예상. 아직 초기 단계이나 향후 차세대 세포치료제로 가치 부각 기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