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과 경제

유진테크(084370) 미래 성장을 위한 꾸준한 준비

by 덕민강 2022. 2. 18.
반응형

 

 

출처 : 하이투자증권 리포트

 

 

매수 투자의견과 56,000원의 목표주가 유지

유진테크의 4Q21 실적은 중국 내 물류, 통관 지연 및 연구개발비 일시 반영에 따라 예상을 하회했으나, 1Q22에는 사상최대 분기 매출을 갱신하며 대폭 개선될 전망이다. 또한 동사 올해 매출과 영업이익은 신장비 매출 본격화에 따라, 전년 대비 각각 35%, 71% 증가하는 4,371억 원과 1,264억 원을 기록할 것으로 추정된다. 동사에 대한 가장 큰 투자 메리트는 미래 성장을 위한 꾸준한 연구 개발로 중장기 성장의 가시성이 높다는 점이다. 동사에 대한 매수 투자의견과 56,000원의 목표주가를 유지한다. 56,000원의 목표주가는 동사 올해 예상 BPS에 지난 3년간 연중 고점 P/B 배수들의 평균인 3.4배를 적용하여 도출한 것으로 올해 예상 EPS에 비해서는 12.9배에 해당한다.

 

 

1Q22에 사상 최대 분기 실적 기대

동사 1Q22 매출과 영업이익은 전분기 대비 36%, 227% 증가하는 1,044억 원과 318억 원에 달해 사상 최대 분기 실적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SK 하이닉스가 M16, M15 라인에 대한 DRAM, NAND 투자를 재개함에 따라 기존 Single Type LP CVD, Large Batch Type (이하 LBT) ALD 매출에 더해 Mini Batch Type (이하 MBT) ALD 의 매출이 크게 증가할 전망이다.

 

 

신장비 매출 본격화와 NAND 및 삼성전자 향 매출 증가

물류 지연 및 부품 부족 문제에도 불구하고, 동사의 올해 매출과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각각 35%, 71% 증가하는 4,371억 원과 1,264억 원에 달해 고성장세를 지속할 것으로 추정된다. 올해에는 SK 하이닉스 향으로 신장비인 LBT LP CVD, LBT PE ALD 의 매출이 시작되고, NAND 용 MBT ALD 의 매출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삼성전자 향으로는 NAND QXP 매출이 추가되고, 하반기에는 비메모리 향 MBT ALD 의 매출이 일부 개시될 전망이다. 올해 동사 매출의 특징은 NAND 용 장비의 매출 비중이 20% 이상으로 전년 대비 두배 가량 상승하고, 2대 고객인 삼성전자향 매출 비중도 40%대 중반 수준으로 전년 대비 10%P 이상 상승할 전망이란 것이다. 또한 그간 적자를 면치 못했던 자회사 EugenUS 는 올해 DRAM 용 신규 QXP 매출 증가와 NAND 용 QXP 매출 개시에 따라 손익분기점에 도달할 것으로 판단된다. 미래 성장을 위한 꾸준한 준비 동사에 대한 가장 큰 투자 메리트는 미래 성장을 위한 꾸준한 연구 개발로 중장기 성장의 가시성이 높다는 점이다. 동사는 내년에도 LBT LP CVD, LBT PE ALD의 적용 부문을 DRAM에서 NAND로 확장하고, DRAM, 비메모리 부문에서 새로운 Metal ALD 장비를 출시할 전망이다. 또한 Intel향 MBT ALD 매출이 SK 하이닉스에 대한 피인수에 따라 올해에는 발생하지 못할 전망이나, 내년 이후에는 NAND향 뿐 아니라 비메모리 향으로도 개시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동사의 꾸준한 신장비, 신고객 확보 노력에 따라 동사의 향후 실적은 중장기적으로 개선세를 이어갈 것으로 판단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