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2021년 12월 국내 자동차 판매
· 내수는 12.9만대(-3% yoy, +5% mom). 전월 대비 소폭 증가했지만 차량용 반도체 부족으로 부진한 흐름 지속
· 수출은 금액 기준으로 전년동월대비 17% 증가. 차량용 반도체 수급 차질에도 불구 판가 상승 등으로 증가
2. 2021년 12월 현대·기아 글로벌 도매 및 공장 판매
▷현대차
· 글로벌 도매 판매 33.4만대(-11% yoy, +5% mom) → 국내 판매 6.6만대(-3% yoy), 해외 판매 26.8만대(-13% yoy)
· 지역별 (yoy) → 미국 -13%, 서유럽 +5%, 중국 -22%, 인도 -32%, 러시아, -20%, 아중동 18%, 아태 -14%
▷기아
· 글로벌 도매 판매 20.9만대(-4% yoy, -5% mom) → 국내 판매 4.8만대(+23% yoy), 해외 판매 16.1만대(-10% yoy)
· 지역별 (yoy) → 미국 -11%, 서유럽 -9%, 중국 -25%, 인도 -34%, 기타 -2%
▷도매 판매 관련 Comment
· 국내 판매는 차량용 반도체 부족으로 생산 차질 지속. 다만 기아는 지난해 12월 부분 파업에 따른 기저효과로 증가
· 해외 판매는 재고 부족이 심화되는 가운데 차량용 반도체 부족 지속에 따라 생산 차질이 지속되며 감소
3. 2021년 12월 현대·기아 미국 소매 판매 (WardsAuto 기준)
· 현대차 5.6만대(-19% yoy), 기아 4.1만대(-10% yoy)로 양사 합산 판매(-15% yoy) 성장세가 시장(-26% yoy)을 상회
→ 현대차 M/S는 5.0%(+0.4%p yoy), 기아 M/S는 4.3%(+0.8%p yoy), 양사 합산 M/S 높은 수준 지속(9.3%)
→ 생산 차질과 재고 부족으로 판매 증가세가 미미하나 인센티브 감소 등 고려 시 양∙질적 성장 이어질 것으로 기대
4. 2022년 현대·기아 도매 판매 목표
· 현대차 → 글로벌 432.3만대(+11% yoy), 내수 73.2만대(+1% yoy), 해외 359.1만대(+14% yoy)
· 기아 → 글로벌 315.0만대(+13% yoy), 내수 56.2만대(+5% yoy), 해외 258.8만대(+15% yoy)
· `22년 반도체 수급 안정화, 차량 생산일정 조정 등을 통해 신차 사이클 진입 이후 첫 두 자릿수 성장 기대
5. 자동차 업종 Comment
· 자동차 업종에 대한 투자의견 ‘비중확대’ 유지
· 올해 증산과 ASP↑(제품 Mix 개선 등)으로 실적 개선이 예상되기 때문. 선호도 순은 기아, 현대차, 모비스
· ①E-GMP 기반 BEV 생산 증가, 라인업 확대 등을 통한 BEV M/S 상승, ②美 투자 구체화 시 주가 모멘텀 작용 기대
· 올해 물량 증가 목표 고려 시 완성차뿐 아니라 자동차 부품 업체들도 예년 대비 양호한 실적 시현할 것으로 기대
· 4Q21 자동차 관련 업체들의 실적의 경우 기대치 하회 가능성 大. 차량용 반도체 부족 여파가 예상보다 지속됐기 때문
'주식과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CJ프레시웨이(051500) 유종의 미를 거둔 2021, 기대되는 2022 (0) | 2022.01.06 |
---|---|
삼성SDI(006400) 수요보다는 공급망 이슈로 살짝 부진 (0) | 2022.01.05 |
LG디스플레이(034220) 2022년 실적 vs 기대감 (0) | 2022.01.05 |
CJ제일제당(097950) 2022년 전사 이익 증가율은 상저하고 예상 (0) | 2022.01.05 |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 유종의 미, 커지는 방산 수출 기대 (0) | 2022.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