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과 경제

한국콜마(161890) 4Q21E Preview : 기저와 역기저 공존

by 덕민강 2022. 1. 12.
반응형

 

 

출처 : 메리츠증권 리포트

 

 

 4Q21E 매출 4,161억원(+19%), 영업이익 282억원(-46%)

 국내 : 기저 효과 및 일회성 비용 제거

 매출 +14%, 영업이익 +87%

 해외 : 무석(+65%) 강세, 북경(+24%) 개선, CSR(+55%) 선전, PTP(+45%) 회복

 HKN : MSD 백신 도입 및 일회성 이익 제거

 매출 +13%, 영업이익 -50%

 기저 효과 아닌 자연 성장, 국내 주력 거래선 회복, 해외 신규 고객 추가 확인 필요

 

 

4Q21E 매출 정상화

한국콜마는 2021년 4분기 매출액 4,161억원(+19.2% YoY, 이하 YoY), 영업이익 282 억원(-45.8%), 순이익 152억원(-88.0%; 제약 사업 매각 차익 1,636억원 제거 시 흑전)을 기록할 전망이다. 화장품 본업의 성장 전환이 돋보이겠다.

[화장품] 국내 : 매출액과 영업이익으로 각각 1,566억원(+13.9%), 132억원(+86.6%; 일회성 감안 시 -9.5%)을 추산한다. 매출은 기저 효과, 이익은 색조 비중 확대 및 일회성 비용(대손상각비 -75억원: 별도 반영 → 조정 → 연결 미반영)을 감안했다.

중국 : 무석(+65.0%)은 신규 거래선 유치, 북경(+24.0%)은 주력 고객사 회복이 기대 된다.

북미 : CSR(+55.0%; 기초)은 대형 수주 추가, PTP(+45.0%; 색조)는 전방 회복 수혜가 나타날 전망이다.

[의약품] HKN : 매출액과 영업이익으로 각각 2,073억원(+13.0%), 228억원(-49.7%) 을 예상한다. 1Q21 MSD 백신 도입 이후, 매출 성장과 마진 감소가 동반되고 있다. 4Q20 일회성 요인 제거에 따른 역기저 부담 또한 상존한다.

 

 

투자의견 Buy(유지) 및 적정주가 47,000원(하향) 제시

2022E 수익성 개선이 두드러질 전망이다(영업이익 +40.4%; +349억원 = HKN 일 회성 비용 제거 +235억원 & 해외 법인 적자 축소 +86억원 & 국내 주력 거래선 회복 +28억원). 케이캡 해외 진출 또한 기대된다(중국 뤄신사 라이선싱 계약 체결). 증익과 신성장동력 대부분은 HKN에 기반한다. HKN 상장이 지분율 희석과 수급 분산 영향을 주고 있기도 하다. 투자성 증대를 위해서는 화장품 본업의 개선이 필요하다. 기저 효과가 아닌 자연 성장, 국내 주력 거래선 회복, 해외 신규 고객사 추가가 정량적으로 확인될 때, 매수 접근이 유효하겠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