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과 경제

해성디에스(195870) 우려는 있으나 내년에도 성장 지속 예상

by 덕민강 2021. 12. 10.
반응형

 

 

출처 : 하이투자증권 리포트

 

 

내년에도 성장 지속 예상. 목표주가 상향

해성디에스에 대해 매수 투자의견을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48,600원에서 65,000원으로 상향 조정한다. 동사에 대한 신규 목표주가 65,000원은 내년 예상 EPS에 동사의 역사적 평균 P/E 배수인 11.7배를 적용하여 도출한 것이다. 비록 동 신규 목표주가가 내년 예상 BPS에 비해서는 3.0배에 해당하나, 동사의 올해 최고 P/B배수가 3.1배이고 동사 내년 ROE가 28.6%로 올해의 25.2%보다 높을 전망임을 감안하면 전혀 무리하지 않은 수준이다.

 

동사의 실적은 3Q21까지 당사 및 시장의 전망치를 지속적으로 상회해왔으며 올해 매출과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각각 40%, 90% 증가하는 6,416억 원과 828억 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내년에는 동사의 높은 실적 성장세가 둔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존재한다.

 

내년 동사 성장과 관련하여 제기될 수 있는 우려는

첫째, 상반기까지 고객들의 지속적인 재고 확보 노력에도 불구하고, 동사 생산 Capa가 이미 완전 가동 상태이므로 매출의 성장이 제한적일 수 있고,

둘째, 하반기 경에 고객들의 재고 축적이 완료될 경우, 동사 Capa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실적이 정체될 수 있다는 점이다. 당사는 이러한 가능성을 반영하여 동사의 매출이 4Q21부터 2Q22까지는 점진적인 증가세만을 보일 것으로 추정하였고, Pkg. Substrate 부문에서는 Memory 반도체 업황 둔화에 따라 단가 인하가 발생할 것으로 가정하였다

 

그러나 World Semiconductor Trade Statistics (WSTS)의 11월 예측에 따르면 올해 31% 성장할 전망인 자동차 전용 반도체 시장 규모가 내년에도 13% 추가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시장 점유율 상승에 따라 동사 자동차용 Lead Frame 부문의 매출 성장률이 그간 자동차용 반도체 시장 성장률을 상회해 왔음을 감안 시, 동사 자동차용 Lead Frame 부문의 실적은 내년에도 견조한 증가세를 보일 전망이다. 또한 내년 DRAM 업체들의 생산 증가율은 19%를 상회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단가 인하에도 불구하고 동사 Pkg. Substrate 부문의 매출도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동사가 올해부터 500억 원 규모의 생산 설비 투자에 들어가므로, 3Q22부터는 이에 따른 매출 증가가 발생하기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 만약 고객들의 재고 확충이 내년 하반기 경 완료될 경우, 3Q22 이후 동사 실적 성장세가 예상을 하회할 가능성은 존재한다. 그러나 현재 동사 생산 설비가 완전 가동 상황이고 장기적으로 동사 제품의 성장성이 높을 전망이므로, 동사의 Capa 확대는 절대적으로 필요했던 선택인 것으로 판단된다.

 

당사가 전망하고 있는 동사의 내년 매출과 영업이익은 올해 대비 각각 16%, 45% 증가하는 7,423억 원과 1,203억 원이다. Lead Frame 부문의 매출이 고객 주문 증가와 동사 Capa 확대에 따라 올해 대비 19% 증가하는 5,166억 원에 달하고, 출하량 증가와 단가 인하가 예상되는 Pkg. Substrate 부문의 매출은 올해 대비 9% 증가하는 2,257억 원을 기록할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주요 원재료인 구리의 가격이 3Q21 이후 하향 안정세에 접어 든 점도 동사의 내년 이익률 측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