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과 경제

현대건설기계(267270) 사업구조 변화 속 내실 확대 기대

by 덕민강 2021. 12. 19.
반응형

 

 

출처 : IBK투자증권 리포트

 

 

4분기 실적 개선 전망

2021년 4분기 실적은 매출액 7,972억 원(+15.8% yoy), 영업이익 189억 원(+48.7% yoy), 영업이익률 2.4%(+0.6%p yoy) 전망. 전년동기비 매출은 중국을 제외하고 직 수출, 선진국, 인도시장 등에서 개선되는 모습 전망. 인프라 투자 및 공급망 이슈로 딜러들이 재고를 축적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 수익성은 통상 4분기에 성과급이 반영 되는 분기이고 3분기보다 원자재 부담이 가중될 것으로 예상되나 전년동기로는 개발비 손상차손 등의 영향이 축소되면서 개선될 것으로 예상.

 

 

2022년 연간 매출은 전년 수준 예상. 수익성은 소폭 개선 기대

2022년 연간 실적은 매출액 3조 5,637억 원(+1.0% yoy), 영업이익 2,227억 원 (+4.9% yoy), 영업이익률 6.2%(+0.2%p yoy) 전망. 2022년 1월 1일부로 산업 특성이 다른 산업차량 사업을 현대제뉴인에 매각하는 한편 한국조선해양이 보유한 해외 생산법인 지분을 매입하여 건설기계 사업에 역량을 집중할 계획. 산업차량 매출의 40% 정도를 차지하는 선진국 판매를 현대건설기계에서 담당할 예정이고, 브라질법 인도 연결 반영되며, 선진국의 인프라 투자에 따른 수요회복으로 중국 감소분을 만회할 것으로 전망. 결과적으로 산업차량 양도로 영업이익률 개선, 해외법인 지분취득으로 이익 확대 기대.

 

 

선진국 시장 인프라 투자 반영 및 사업/지배구조 변화로 시너지 기대

중국 굴삭기 시장 피크아웃, 헝다 이슈 등으로 투자심리 악화된 상태. 다만 선진국 시장의 인프라 투자 반영 및 인도시장 회복 등이 실적을 방어해 줄 것으로 기대. 또한 중간지주인 현대제뉴인을 통해 현대건설기계와 현대두산인프라코어의 사업 및 지배구조를 변화시켜 시너지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며, 목표 주가는 58,000원으로 하향(기존 82,000원). 목표주가는 과거 4개년 PER, PBR, EV/EBITDA 평균에서 최저 배수로 변경 적용해 산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