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주식390 쿠콘(029780) 플랫폼과 데이터의 조합 오늘의 게시물은 하이투자증권의 리포트를 참고했습니다. 대체불가능한 플랫폼 역할 수행 동사에 대해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110,000원으로 커버리지를 개시한다. 목표주가는 플랫폼 기업에 적용하는 PSR valuation 으로 산정하였다. (Target PSR 12 배, 2022F 매출액 772 억원 적용) 동사는 ‘데이터 수집→데이터 연결→데이터 조직화’ 단계를 통해 표준화된 데이터를 제공하는 비즈니스를 영위하고 있다. 2006년 설립된 이후 15년 이상 데이터 사업과 관련하여 쌓은 노하우와 인프라를 보유 중이며 동사의 비즈니스 모델은 전 금융권, 핀테크 기업과 연결되어 있어 후발주자가 들어오기 힘든 영업 환경이다. 이로 인해 앞으로도 쉽게 대체할 수 없는 플랫폼의 역할을 한다고 판단하며 동사의 영업.. 2021. 11. 25. 녹십자(006280)상업성과 미래를 준비하는 연구개발로 방향 설정 오늘의 게시물은 한화투자증권의 리포트를 참고했습니다. 녹십자는 팔릴 수밖에 없는 의약품인 희귀질환 치료제를 중심으로 연구 개발 방향을 잡았으며, 3 세대 바이오의약품인 유전자치료제(mRNA) 기술확보를 시작했습니다. R&D 아이덴티티 변화는 현재 진행형 동사의 R&D 정체성은 1) 희귀질환과 2)mRNA플랫폼을 중심으로 형성될 예정이다. 동사는 희귀질환인 헌터증후군 치료제 헌터라제를 개발해 중국과 일본에서 품목허가를 받은 경험이 있다. 이를 기반으로 동사가 강점을 가진 대사질환과 혈액질환분야에서 희귀질환 파이프라인을 확보해나갈 것으로 기대된다. 동사의 R&D투자 중 희귀질환 혁신 신약 개발과 관련된 비중은 2017년 50%에서 2020년 70%로 증가했으며 2021년은 75%까지 상승할 전망이다. 201.. 2021. 11. 25. 유한양행(000100) 기대되는 4분기와 2022년 오늘의 게시물은 한화투자증권의 리포트를 참고했습니다. 유한양행의 3분기 영업이익은 일시적인 마일스톤 인식 지연과 광고선전비 지출 확대로 컨센서스를 하회했습니다. 2022년은 렉라자의 글로벌시장 진출과 기술수출 파이프라인들의 추가 마일스톤 수익도 인식되기 시작하는 구간입니다. 수익성이 아쉬웠던 3분기 유한양행의 3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4,515억 원(YoY +5.1%)을 기록해 컨센서스를 부합했다. 다만 영업이익은 65억 원(YoY -68%)로 컨센서스 226억 원 대비 71% 하회했다. 영업이익 부진 원인은 크게 2가지다. 첫째는 NASH 마일스톤 인식(약 100억 원)이 4분기로 이연된 영향이다. 3분기 라이선스 수익은 64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4억 원 감소했다. 동사의 기술수출계약 5건은 .. 2021. 11. 25. 미래에셋증권(006800) 자본활용의 힘 오늘의 게시물은 IBK투자증권의 리포트를 참고했습니다. 2021년 최대 실적 예약 3분기 누적기준 연결순이익이 9,757억 원으로 8천억 원 초반대였던 2019년 연간 연결순이익을 넘어섬. 2분기 최대치인 연결순이익 3,437억 원에 이어 3분기에도 3,408억 원을 기록. 1분기 대비 증시 거래대금 감소로 수수료이익이 감소했지만 운용이익 호조와 IB부문의 양호한 실적에 힘입어 전사 이익규모 레벨업. 2021년 연결순이익은 1.15조원으로 YoY 40% 증가한 최대치를 기록할 전망 운용수익과 IB수익이 실적 견인 위탁매매수수료 수익은 1분기 2,559억 원 정점 이후 증시 거래대금 감소에 따라 2분기 1,966억 원, 3분기 1,885억 원으로 감소. MS는 1분기 11.6%에서 3분기 12.1%로 상승.. 2021. 11. 24. 이전 1 ··· 85 86 87 88 89 90 91 ··· 9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