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과 경제

DL이앤씨(375500) 실적 기저 부담, 신사업 구체화는 지속

by 덕민강 2022. 4. 12.
반응형

 

 

출처 : 유안타증권 리포트

 

 

1Q22 Preview : 현 시장 예상치 부합 전망

2022년 1분기, DL이앤씨 연결 실적은 매출액 1.70조 원(-0.4%, YoY), 영업이익 1,778억 원 (-11.0%, YoY)으로 현 시장 예상치에 부합할 것으로 추정한다. 2020~2021년 주택 착공물량 감소에 따른 후행적 영향과 원자재 가격 상승의 원가부담으로 당분기 영업이익은 전년동기대비 11% 감소할 전망이다.

DL건설 실적 역시

1) 2021년 주택 착공 부진

2) 대형 현장 준공 영향으로 전년동기대비 감소할 것으로 전망한다.

2021년 말, 수주한 러시아 발틱 플랜트 Project는 최근 사태에도 불구, 설계 위주의 초기 단계인만큼 실적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한다.

 

 

주택 분양실적 회복, 러시아 수주 공백 만회가 관건

2022년 1분기, 주택 착공 실적은 DL이앤씨(별도), DL건설이 각각 1,000세대, 2,000세대를 기록하며 가이던스 대비 5%, 16%의 달성률을 기록했다. DL이앤씨(별도) 주택 분양 확대 계획[15,400세대(21) → 20,385세대(22E)]과 함께 2021년 분양 시기 지연 등으로 급감했던 DL건설의 주택 실적 정상화[7,329세대(20) → 1,700세대(21) → 12,700세대(22E)]과정이 DL이앤씨 연결 실적에 기여도를 높이는 요인이 될 전망이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로 올해 약 1조원을 상회할 것으로 예상되었던 러시아 후속 플랜트 수주 일정은 지연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다만, 카타르와 사우디(약 1.5조원)에서의 플랜트 공사와 미국 USGC(0.6조원) 등 주요 파이프라인 내 수주 가능성은 관련 부정적 요인을 상쇄하는 요인이 될 전망이다.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는 무상증가 효과를 반영해 90,000원으로 조정

DL이앤씨에 대한 투자의견 Buy를 유지하며 목표주가는 100% 무상증자 효과를 반영해 기존 180,000원에서 90,000원(2022년 추정 BPS 111,652원 * PBR 0.8x)으로 조정 제시한다. 디벨로퍼형 수주 확대와 더불어 동사가 신사업으로 제시한 CCUS 사업은 호주 뉴라이저와 기본설계 계약 합의서 체결 등 주요 고객사와 관련 수주 파이프라인 내 성과(Project당 500~1,000억원 규모 추정)가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지난 중장기 주주환원 정책에 포함된 자사주 매입(지배주주순이익의 10% 현금배당 + 5% 자사주 매입)은 5월 정기 이사회 이후 진행될 전망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