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주린이373

딥노이드(315640) 의료용 AI 플랫폼 사업 순항 중 출처 : IBK투자증권 리포트 의료 AI 플랫폼 전문기업 딥노이드 지난 8월 코스닥 시장에 기술 특례 상장한 딥노이드는 국내 유일한 플랫폼 기반의 의료 AI 솔루션 제공업체이다. 별도의 IT 지식 없이 전문 의료인이 손쉽게 의료용 영상 AI 솔루션을 직접 개발 할 수 있는 플랫폼 ‘DEEP:PHI’를 주력 제품으로 보유 하고 있다. 3Q21 누적 기준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7.3억 원(+6.1% yoy), -59.4억 원(적지 yoy)을 기록하였다. 현재까진 무료 서비스 위주의 플랫폼 확장 국면으로 개발비 증가에 따른 영업적자는 불가피하였다. DEEP:PHI 의학계 메타버스 플랫폼으로 진화 중 지난 11월 가상화 솔루션 전문 클라우드 컴퓨팅 업체 이노그리드와 MOU를 체결하며 DEEP:PHI 플랫폼의.. 2021. 12. 5.
HMM(011200) 오미크론과 단계적 민영화 출처 : 대신증권 리포트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48,000원 유지 - 이동걸 회장의 단계적 매각 인터뷰와 오미크론 확산에 따른 물류 병목 해소 시점 지연 가능성 증가로 단기 모멘텀 발생 - HMM은 2022년 컨테이너 운임 Peak-out 우려와 영구채의 100% 전환 가능성 증가로 주가 조정 이어짐. 하지만 코로나 변이 확대(오미크론 확산)와 영구채 100% 전환이 현실적으로 어려울 수 있다는 점이 부각되며 주가 반등 - 이동걸 회장은 2022년부터 해양진흥공사가 HMM을 전담 관리하며, 단계적인 지분 매각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힘. 또한 “산은이 가진 전환사채를 다 전환할 경우 해진공과 산은이 보유한 지분이 70%를 넘는다고 들었다” “70%를 가지고 민영화한다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매각이 쉽게.. 2021. 12. 5.
Kiwoom Fixed Income Weekly 오미크론 vs. 미 연준 정상화 SUMMARY •미 연준은 오미크론이라는 변수에도 정책 정상화에 무게를 두고 있어 금리 방향성에 있어 불확실성이 높아진 상황 •10일 미국 11월 소비자물가지수가 발표되면서 시장의 관심은 인플레 및 연준의 대응에 초점이 맞춰질 가능성이 높음. 오미크론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약화될수록 연준의 통화정책 정상화에 대한 민감도가 높아질 수 있음 •국고채 금리는 오미크론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해소되고 미 연준 정상화에 따라 대외금리 반등시 동반 상승할 것으로 예상. 다만, 국내 통화정책 정상화는 선반영된 수준인만큼 대외 금리 반등 시 매수 관점 유효하다고 판단함 연초 효과 일찍 시작했나 오미크론 변이 등장으로 금통위 이후의 매수세가 강화되면서 시장금리가 가파르게 하락했다. 연초 효과가.. 2021. 12. 5.
11월 소비자물가 : 3% 후반을 기록, 전망치 상회할 것 출처 : 이베스트투자증권 한국은행 연간 물가 전망치 상회 → 추가 금리 인상의 근거? 1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YoY)은 3.71%를 기록해 전월의 3.18%에서 +0.53%p 상승했다. 반면 근원물가 상승률(%YoY)의 경우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는 2.76%에서 2.32%로,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지수는 2.40%에서 1.87%로 하락했다. 지출목적별로는 교통,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 음식 및 숙박 부문이 각각 +1.38%p, +0.89%p, +0.51%p씩 상승에 기여했고 통신 부문이 -0.01%p 하락에 기여했다. 11월 금통위에서 한국은행의 2021년 소비자물가 전망치는 2.1%에서 2.3%로 상향조정된 바 있다. 하지만 이러한 물가 전망치 상향조정에도 불구하고 11월 물가상승률이 컨센서스.. 2021. 12.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