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주린이373

엔씨소프트(036570) 디레이팅도 받았고, 우려도 반영됐다 출처 : 한화투자증권 리포트 동사의 밸류에이션은 실패 이후 디레이팅이 나타났고, 카니발로 인한 기존 게임 매출 감소 우려도 충분히 반영됐다고 판단합니다. 오히려 신작 성과로 인한 실적 상향요인이 더욱 클 것으로 전망합니다. 4분기 실적은 컨센서스 상회 전망 우리는 동사의 4분기 실적으로 매출액 7908억 원, 영업이익 2613억 원을 전망한다. 이는 영업이익 컨센서스를 14% 상회하는 수준이다. 는 출시 초기 일주일 간 일평균 매출 120억 원을 기록한 후 최근에도 동접자수와 트래픽이 지속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는 기존 과거의 게임과는 다른 패턴이며, 매출 하향 속도도 매우 안정적인 수준으로 추정한다. 108개로 시작한 서버 수도 최근 180대까지 늘어났다. 우리는 4분기 일평균 매출을 50.. 2021. 12. 7.
나노신소재(121600) 이차전지 소재 업종 중 가장 저평가 출처 : 하이투자증권 리포트 4Q21 삼성디스플레이 QD-OLED 패널 양산에 따른 중공실리카 소재 수혜 예상 최근 언론에 따르면 11월부터 삼성디스플레이 QD-OLED 패널 양산이 본격화되었다. 이에 따라 동사의 신사업인 중공형 저반사 코팅막 소재(중공실리카)의 매출 상승세도 뚜렷할 전망이다. 디스플레이 저반사 코팅막을 형성할 때 사용되는 중공실리카는 지금까지 일본 Nippon Shokubai 가 독점해오던 시장이었다. 그러나 지난해 동사가 이를 국산화하여 삼성디스플레이 대형 QD-OLED 패널 전량에 적용될 예정이다. 2022년 삼성디스플레이의 대형 QD-OLED 패널 출하량 계획은 약 100만대 수준으로 파악된다. 이로 인해 발생하는 동사의 중공실리카 연간 매출은 약 200억 원 수준일 것으로 추정.. 2021. 12. 6.
두산(000150) 두산그룹 구조조정 마무리 수순 출처 : 하이투자증권 리포트 두산그룹 구조조정 마무리 수순으로 향후 구조조정에 대한 불확실성 해소 될 듯 지난해 두산그룹은 두산중공업 유동성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채권단으로부터 3조 6천억 원을 긴급 지원받고 대신 자산과 자/손자회사 매각, 유상증자를 포함한 3조 원 규모의 재무구조 개선안을 마련하여 진행 중에 있다 이에 대하여 동사는 지난해 두산타워, 네오플럭스, 두산솔루스 등을 매각함에 따라 유동성 등을 확보하는 동시에 이러한 자금 등을 기반으로 지난해 12월 두산중공업에 4,352억 원을 출자하였다. 또한 올해 동사는 모트롤 사업 분할 매각 등을 비롯하여, 두산중공업에 두산퓨얼셀 지분 출자, 두산밥캣에 산업차량 사업 매각 등을 완료하였다. 다른 한편으로는 두산중공업의 경우 지난해 클럽모우 골프장을 .. 2021. 12. 6.
엔비티(236810) 실적개선 및 성장성 가시화 될 듯 출처 : 하이투자증권 리포트 모바일 포인트 플랫폼 사업 영위 동사는 지난 2012년에 설립되어 광고수익의 일부를 이용자에게 각종 혜택으로 돌려주는 모바일 포인트 플랫폼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이러한 사업모델은 소비자가 할애하는 시간을 재화로 사용할 수 있는 포인트 보상시스템에 기반하고 있다. 등 자체 포인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B2C 포인트 플랫폼과 더불어 등 제휴 포인트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B2B 포인트 플랫폼 라인업 등을 보유하고 있다. B2B 부문 매출 상승으로 인한 영업레버리지 효과 본격화로 수익성 개선 가속화 지난 2012 년 스마트폰 잠금화면을 매개로 모바일 포인트 플랫폼 를 런칭한 동사는 2018년 B2B 시장으로 사업 영역을 확대하기 위해 제휴 포인트 네트워크 서비스인 을 런칭하였다. 현재 .. 2021. 12.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