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주식과 경제435

퍼시스(016800) 자산가치 대비 저평가 출처 : 이베스트투자증권 리포트 안정적인 실적 흐름 : 2021년 최대 매출액 달성 동사는 2021년 매출액 기준 역사적 최대 실적을 달성하였다. 사무용 가구라는 본업의 특성상 성장성 보다는 안정성 관점에서 부각되지만, 그래도 2021년에는 외형적인 측면에서 최대 실적을 기록한 것이다. 동사는 2Q21이후 내수(매출비중 95%)부문에서 실적이 큰 폭으로 개선되었는데, 이는 본사계약(B2B 직접 공급, 상대적으로 수익성 높음)이 증가한 것으로 파악되며, 2020년 코로나로 인한 사무용가구 부진에 대한 기저효과도 일부 반영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2022년 기대요인은 베트남 법인의 본격적인 가동이 있다. 퍼시스 그룹 차원에서 베트남에 생산시설을 확대하고 있는데, 이는 Low-end 제품 군에 대한 원가절.. 2022. 3. 3.
효성첨단소재(298050) 탄소섬유 추가 증설 발표 출처 : 이베스트투자증권 리포트 탄소섬유 추가 증설 모멘텀 ● 2023년 4월 완공 목표로, 2,500톤/년 추가 증설 발표. Capex 470억원 수준 ● 2022년 7월 완공 기준, 2,500톤/년 증설(Capex 758억원) 중으로 2022년 연말 기준, 6,500톤/년 capa임. 여기에 추가 2,500톤/년 증설로, 2023년 4월, 총 capa 9,000톤/년임 ● 당초 예상 2,000톤/년보다 500톤/년 추가되었으며, 증설 완료시기도 3개월 앞당겨짐 ● 수소뿐 아니라 CNG, 고압기체용기, 태양광용 단열재까지 탄소섬유 수요가 빠르게 증가 ● 2020년 4분기 흑자전환 이후, 이익률 빠르게 상승 중. 탄소섬유 소재 자체가 고정비 레버리지 효과가 크기 때문에 이익률 상승 폭 클 것 다시 주도 .. 2022. 3. 3.
디어유(376300) 2022도 탄탄대로 출처 : 한양증권 리포트 2021 Review : 무난한 흑자전환 달성 동사의 4Q21 실적은 매출액(영업수익) 109억 원(+90.1% yoy), 영업이익 24억 원(+164.2% yoy), 당기순이익 -348억 원(적자지속)으로, ‘21년 매출액 400억 원(+206.6% yoy), 영업이익 132억 원을 달성하며 흑자전환에 성공하였다. 당기순이익은 -260억 원을 기록했는데, 이는 4분기 CB 및 CPS 보통주 전환에 따른 파생상품 평가손실에 기인한다. 현금유출이 없는 일회성 손실을 제외하면 당기순이익 또한 흑자전환이 가능한 수준이다. 디어유 버블의 1) 지속적인 신규 IP 영입, 2) 높은 구독 유지율이 동사의 실적을 견인한 것으로 보이며 ‘20년 하반기 10%대 였던 영업이익률이 ‘21년부터는 .. 2022. 3. 3.
주린이를 위한 경제지표 해설 한국은행의 정책목표 - 韓 소비자물가 Back to The Basics Series_7) 한국 소비자물가 매월 초 발표되는 한국 소비자물가지수는 2010년대 이후 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 글로벌 저물가 현상으로 물가상승률이 낮은 수준에서 머물렀기 때문이다. 팬데믹 발생 1년 전인 2019년만 하더라도 한국 소비자물가 연간 상승률은 0.4%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고, 한국은행은 물가상승률이 왜 그토록 낮은지 설명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러나 이제는 상황이 달라졌다. 지난해 11월 한국 소비자물가는 전년동월비 3.8% 상승하며 10년 만의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올해 1월에도 3.6%의 상승률로 한국은행의 목표 수준을 크게 상회하고 있다. 일곱 번째로 다룰 지표는 한국 소비자물가이다. 이번 편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한국 소비자물가는 최소 상반.. 2022. 3.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