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SK증권 리포트
- 4Q21 실적발표 포인트 : 컨센 상회하는 가이던스(1Q22 매출액 20% 이상 증가, 2022년 매출액 100% 이상 증가한 3조원 이상). 화재 영향 크지 않음(CAM4 1분기 중 가동 예정, 다른 공장의 조기 가동)
- 높은 성장성의 이유는 수요가 좋은 하이니켈 양극재와 메탈가격 전가의 판가 구조 때문
- 금리상승에도 불구하고 인플레이션 헤지가 가능한 사업구조와 높은 성장성이 가장 큰 매력
4Q21 실적 review : 각종 우려를 잠재우는 실적발표
에코프로비엠 주가는 연말 양도세 이슈, 금리 상승에 따른 성장주 주가 조정, 오창 공장 화재, 임직원 내부자 거래 이슈 등에 따라 2021년 11월 고점대비 41% 하락한 상황이다. 금리인상, 우크라이나 사태 등 매크로 이슈는 여전하지만, 회사 자체적인 상황은 막연한 우려에서 벗어나고 있다고 판단한다. 공장 화재에 따라 CAM4N 4천톤은 연중 가동이 어렵지만, CAM4 1만톤은 3월 중 풀가동을 예상하고 있어 2022년 실적에 매출액 800억 원 수준의 영향으로 제한될 전망이다(2022 년말 생산능력 126,000톤). 임직원 내부자 거래는 개개인의 문제로 회사 영업에는 차질이 없다고 경영진은 선을 그었다. 4Q21 실적은 매출액 5,039억 원(+104%YoY, +23%QoQ), 영업이익 286억 원(+99% YoY, -30%QoQ), OPM 5.7%를 기록했다. 매출 성장은 고객사(삼성SDI, SK 온)의 유럽, 미국 공장 본격 가동에 따른 물량 증가와 리튬 등 원재료 가격 인상에 따른 판가 상승 영향이 크며, 이익률은 CAM6 12월 조기가동에 따른 고정비 부담, CI 비용, 인건비 등 영향으로 다소 낮게 나왔다. 일회성 비용 제외시 별도로는 8.5%, 연결로는 7%대로 양호하다고 판단한다.
인플레이션 전가가 가능한 사업구조와 하이니켈 양극재의 수요 호조는 지속
1분기 실적은 매출액 6,283억 원(+139%YoY, +25%QoQ), 영업이익 382억 원(+114% YoY, +34%QoQ), 영업이익률 6.1%를 전망한다. 2022년 연간으로는 매출액 2.99조 원 (+101% YoY), 영업이익 2,124억 원(+83%)를 전망한다. 2022년 셀 업체들의 실적 전망을 보면, 차량용 반도체 수급난이 전기차 시장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하지만, 에코프로비엠의 1분기와 2022년 전망치는 컨센서스를 상회한 수치를 제시하고 있다. 차량용 반도체가 부족한 완성차 업체들은 저가보다는 고가 차량(특히 전기차)에 차량용 반도체를 좀더 할당하고 있으며, 이러한 완성차들의 전략은 동사의 하이니켈 양극재 수요를 탄탄히 뒷받침해주고 있다고 판단한다. 특히 최근 BMW iX의 수요 호조는 동사의 CAM6 라인의 조기가동으로 이어졌으며, Ford F150 전기차 생산 준비 등 고객사들의 신차 판매 호조가 에코프로비엠 성장의 핵심이다. 양극재 업체들의 실적은 NCM523 이나, NCM622 보다 하이니켈 양극재인 NCM811, NCM9 반반, NCA 에서 주로 성장이 나오고 있는 것으로 추정한다. 또한 니켈, 코발트 시세를 판가에 전가하는 사업구조는 인플레이션, 특히 배터리 관련 메탈가격 상승세에 수혜를 보고 있다. 최근 니켈 선물가격은 작년 2월대비 26.6% 상승한 상황이며, 탄산리튬 현물 가격은 전년대비 4배 이상 오른 가격에 거래되고 있다. 1분기 뿐만 아니라 2022년에도 P(가격)과 Q(물량)이 둘 다 상승하는 구조를 보일 것으로 판단한다.
하이니켈 양극재에 대한 수요 호조에 따른 에코프로비엠 CAM6 공장 조기가동(2021년 12월), CAM5N 조기가동(4Q22)에 따라 2022년과 2023년 실적 전망치를 상향한다. 2022년의 매출액과 영업이익 증가폭에 비해서 EPS 증가폭은 낮은데, 에코프로비엠 (삼성SDI 와의 조인트벤처, 지분율 60%)의 매출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해이기 때문이다. 2023년부터는 다시 에코프로비엠 자체 공장의 비중이 높아지면서 EPS 증가율도 높아질 것으로 추정한다.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는 실적 전망치 상향에 따라 기존 37만원에서 53만원으로 상향한다. 펀더멘탈은 여전히 좋은 상태지만, 심리만 악화된 현 상황은 좋은 매수기회라 판단한다. 금리상승에도 불구하고 인플레이션 헤지가 가능한 사업구조와 하이니켈 양극재에 대한 높은 수요가 투자포인트이다.
'주식과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Tech (Positive) - 대만 IT 1월 실적 코멘트 (0) | 2022.02.15 |
---|---|
중국 주식 - 이제는 시장의 색깔이 바뀔 가능성에 무게 #2 (0) | 2022.02.15 |
제이콘텐트리(036420) 스튜디오의 잠재력을 보여주다 (0) | 2022.02.14 |
카카오(035720) 성장성 확인과 본업 중심의 수익성 개선 (0) | 2022.02.14 |
항공 - 우주 산업 성장 이끌 미국과 중국의 경쟁 (0) | 2022.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