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과 경제

CJ대한통운(000120) 1분기가 주가, 실적 저점

by 덕민강 2022. 3. 30.
반응형

 

 

 

출처: 대신증권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160,000원으로 11.1% 하향

- 목표주가는 2022년 실적 하향에 따른 조정. Target PBR 1.0배 적용

- 2021년 1분기 실적은 낮아진 시장의 기대치에 부합하는 수준으로 예상

- 연초부터 이어진 택배기사들의 파업 영향으로 1분기 택배 처리량이 전년동 기대비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추정 - 1분기 동사의 택배 처리량은 425.1백만박스(-7.5% yoy)로, 택배 시장 점유 율은 45.8%(-7.2%p yoy)로 2017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예상

- 다만, 택배 단가는 2022년 1월 일괄적인 단가 인상 영향으로 예상보다 높 은 2,043원/box(+13.5% yoy)로 전망

- 동남아(태국, 말레이시아 등) 택배 사업 철수에 따른 일회성 인건비도 50 ~ 100억원 수준 반영될 것으로 예상함

- 신 성장 부문인 E-Commerce 부문은 2022년 300만Box/월로 2021년 대 비 큰 폭으로 성장 전망. 다만, 전체 택배물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약 2% 내외 수준으로 본격적으로 이익에 기여할 시점은 2023년부터로 전망

- 2021년 하반기부터 진행된 주가 하락으로 22년 1분기가 주가 저점으로 점 진적인 비중확대 바람직하다고 판단

 

2022년 1분기 실적 낮아진 시장 기대치에 부합할 전망

- CJ대한통운의 2022년 1분기 실적은 매출액 2조 7,236억원(+1.2% yoy), 영 업이익 862억원(+79.1% yoy), 지배주주순이익 164억원(+28.1% yoy) 예상

- 사업부문별로(증감 yoy) [CL]매출액 6,624억원(+3.5%), [택배] 매출액 8,685 억원(+5.0%), [글로벌] 매출액 1조 734억원(-5.0%)으로 추정

- 1분기 파업영향으로 부진하였으나, 2분기부터 택배 물량 회복과 글로벌 부 분 수익성 개선될 전망으로 1분기가 주가 및 실적의 저점이라 판단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