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주식과 경제435

루트로닉(085370) 밸류에이션 정상화의 시간 출처 : 이베스트투자증권 리포트 PㆍQ 동반 성장, GPM 상승, 현금흐름 개선 확인 2021년 동사 매출액은 1,736억 원(+50% yoy), 영업이익 298억 원(+380 yoy), 영업이익률 17%(+12%p yoy)를 기록했다. 제품 평균가격은 +25% yoy, 판매대수는 +20% yoy 증가하면서 꾸준한 제품가격 상승과 수익성 개선이 진행중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수출매 출액 비중은 83%로 전년대비 +3%p 상승했다. 당사는 2021년 4월 8일 ‘감사의견 적정, 투자자 신뢰 한정’ 리포트에서 자산건전성 재평가에 따른 추가적인 대규모 일회성 비용 가능성을 낮게 판단하고, 영업활동현금흐름의 개선을 예상했었다. 전일 공시된 감사보고서를 보면, 2021년 말 기준 매출채권회전률은 `19년 8.2 →.. 2022. 3. 25.
솔브레인(357780) 이제는 성장을 기대할 때 출처 : 이베스트투자증권 리포트 식각 소재의 과점적 경쟁력 솔브레인은 반도체/디스플레이의 세정 및 식각 공정에 사용되는 에천트를 주력으로 생산 하고 있으며, 반도체 부분에서의 점유율은 85%에 육박한다고 언급하고 있다. 불산계에 천트(세정, 식각)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내 점유율이 70~90%에 이르며 인산계 에천트(고선택비식각)의 점유율은 90~100%로 압도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1Q22가 분기 실적 저점 2022년 실적은 매출액 1.1조 원(+11%YoY), 영업이익 2,142억 원(+13%YoY, opm 19%)으로 2021년 부진했던 이익 성장률을 만회할 것으로 예상한다. 1Q22 실적은 매출액 2,658억 원(flat QoQ), 영업이익 490억 원(+10%QoQ)로 전분기대비 개선될.. 2022. 3. 25.
반도체(Positive) 급변하는 매크로 환경이 사이클의 변곡점을 만들다 우리는 2분기 메모리 가격이 상승 전환할 것으로 판단한다. 급변하는 매크로 환경이 메모리 사이클의 변곡점을 앞당기고 있기 때문이다. 당사의 채널 체크에 따르면, 2분기 디램 가격은 3% 이상 상승하고, 낸드 가격은 10% 이상 상승할 것으 로 전망된다. 낸드 가격이 디램 가격에 비해 큰 상승폭을 나타내는 것은 이례적이다. 역사적으로, 낸드는 HDD의 대체재 였기 때문에 가격이 줄곧 하락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디램 시황이 크게 좋아질 때만 낸드 가격도 일시적으로 상승 흐름 을 탔던 것이 전부다. 과거 SK하이닉스의 우시 공장 화재 때와는 비교하기 어려우나, 단기적으로는 낸드 시황이 상대적 으로 좋을 것으로 예상한다. 메모리 시황 변화의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다. 1) 지난 12월 삼성전자 시안 공장 락다운.. 2022. 3. 24.
일동제약(249420) 시오노기제약을 알아야 보이는 코로나 치료제의 가치 출처 : 한화투자증권 리포트 일동제약이 日 시오노기제약과 공동개발 중인 경구용 코로나 치료제 (S-217622)의 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해 파트너사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연매출 10억달러 이상의 블록버스터 의약품을 개발한 기술력있는 글로벌제약사로 동사에게는 훌륭한 동반자로 생각됩니다. 경구용 코로나치료제 개발 스토리 일동제약은 2021년 11월 17일 日 시오노기제약과 경구용 코로나치료제(S-217622) 공동개발계약을 체결하고, 국내에서 임상시험을 시작했다. 기존 2b/3상 통합 임상시험을 각각 분리실시하는 것으로 2월 22일 식약처로부터 임상시험 계획 변경승인을 받았다. 시오노기제약은 글로벌 플레이어 시오노기제약은 1878년에 설립된 제약사로 140년의 역사를 가진 제약사다. 시가총액 23조 원에 매.. 2022. 3.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