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주식과 경제435

스마트폰 시장 동향 - 1Q22 출하량 YoY 역성장 전망 Check Point 1) 1Q22 출하량 YoY 역성장 전망 2)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영향 3) 중국 주요 도시 락다운 영향 4) 삼성의 GOS와 Geekbench 퇴출 이슈 ● 1Q22 글로벌 스마트폰 출하량 전망 : 1Q22 310~315M (-11.9%YoY~-10.5%YoY, -15.0%QoQ~-13.7%QoQ) 1Q22 스마트폰 시장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 및 중국의 코로나 상황 악화가 지속됨에 따라 전년 대비 역성장이 예상된다. ● 러시아, 우크라이나 스마트폰 시장 판매량 전망 : 러시아 ’22년 27.0M(-33%YoY), 우크라이나 ’22년 5.8M(-41%YoY)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사태가 장기화됨에 따라 해당지역(‘21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스마트폰 출하량 50M, 글.. 2022. 3. 28.
SKC(011790) 2022년 1분기 우려보다 견조해! 출처 : 유안타증권 리포트 2022년 1분기 예상 영업이익 1,302억 원 2022년 1분기 예상 실적은 ‘매출액 8,387억 원, 영업이익 1,302억 원(영업이익률 15.5%), 지배주주 순이익 500억 원’ 등이다. 영업이익 추정치는 전년동기 818억 원과 직전분기 996억 원 대비 각각 51%와 31% 증가하는 수치이다. 부문별로는 ‘정밀화학 754억 원(전분기 893억 원), 동박 235억 원(전분기 205억 원), 기타소재 313억 원(전분기 △102억 원)’ 등이다. 국제 유가, 구리 가격 등 비용 부담이 커지는 상황 속에서도 견조한 실적이다. 다만, 2022년 화학 감익과 동박부문 투자비 부담 증가 등을 고려해, 목표주가 14.5만원(Hold)을 유지한다. 1분기, 정밀화학 부문은 수출 다.. 2022. 3. 28.
오리온 (271560) 우려보다 견고한 성과 출처 : 유안타증권 리포트 우려대비 견고한 실적 2월 오리온의 합산 매출은 전년동기비 8% 증가한 1,637억 원, 영업이익은 12% 성장한 197억 원 기록. 우려대비 견고한 실적 달성. 중국을 제외한 지역이 성장 견인. 법인별 전년동기 매출성장률 한국 +9%, 중국 +1%, 베트남 +20%, 러시아 +32% 기록. 중국은 현지통화 기준 하이싱글 감소 추산, 전년도 기저 부담 및 출고 조절 영향. 전사적으로 제조원가율 상승, 유틸리티 단가 인상, 물류비용 상승 영향 존재했으나, 비용 효율화 동반되며 합산 이익률은 개선. 법인별 전년동기 이익성장률 한국 -15%, 중국 +56%, 베트남 +50%, 러시아 +8% 기록 외부 변수 부담은 여전 외부 영향에 따른 부담 지속. 우선적으로 지정학적 리스크에 따라 .. 2022. 3. 27.
삼영전자(005680) 반도체 그리고 자동차 전해콘덴서 기대감 출처 : 이베스트투자증권 리포트 반도체용 전해콘덴서 신제품 효과 동사는 반도체(SSD용)향 전해콘덴서를 국내 대형 반도체 업체로 2021년부터 공급하기 시작하였다. 매출 규모는 2021년 29억 원 → 2022년 70억 원 이상 → 2023년 100억 원 이상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중요한 점은 수익성 관점에서 기존 가전용 전해콘덴서 대비 매우 높아 동사의 영업이익 증가에 핵심 성장요인으로 기대된다는 것이다. 현재 전방고객사의 수요가 견조하여 현재 2개 라인에서 올해 연초 이후 20억 원 규모의 투자를 진행(2개 라인 추가)하였고, 향후에도 2개 라인 증설을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전장용 전해콘덴서 증가 동사의 전장용 전해콘덴서 매출액(추정치)은 2020년 193억원 → 2021년 223억원 .. 2022. 3.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