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이베스트투자증권 리포트
Check Point
● FY2Q22 실적 기대치 상회
● FY3Q22 가이던스는 상당히 공격적
● 메모리 반도체 시장에 대한 긍정과 부정
FY2Q22(CY1Q22) 실적 기대치 상회
FY2Q22(CY1Q22) 실적은 매출액 $7.8B(+1%QoQ), 영업이익 $2.8B(+1%QoQ), EPS $2.14로 시장 컨센서스 및 기존 가이던스를 상회했다. DRAM 출하량은 전분기대비 한 자리수 후반 증가했고 ASP는 전분기대비 한 자리수 중반 하락했으며, NAND 출하량은 전분기 수준이었으나, ASP는 전분기대비 한 자리수 중반 상승했다.
FY3Q22(CY2Q22) 가이던스는 상당히 공격적
FY3Q22 가이던스는 매출액 $8.7B ± $200M, EPS $2.46 ± $0.10를 제시했다. 이는 상당히 공격적인 가이던스라고 평가하는데 이유는 DRAM Bit growth가 한 자리수 중반 증가, NAND Bit growth가 10%중반 증가를 가정했을 때 DRAM ASP는 한 자리수 초반 하락 또는 상승하고, NAND ASP는 20% 정도 상승해야 매출액 가이던스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물론 NAND 시장은 키옥시아의 사고 영향으로 공급 부족 상황에 접어들 것이나, 세트 업체들이 NAND 가격 인상을 어느 정도까지 받아들일 것인지가 관건이 될 것이다. 서버 내 메모리 Cost 비중은 이미 30% 중후반 수준이며, 다른 원자재 가격들의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고, 원가절감에 대한 필요성이 점점 증가할 것이기 때문이다. 더불어 CY1Q22서버 및 컴퓨팅 수요가 양호했다고 평가했는데 과거 분기별 매출 규모를 기준으로 CNBU(Computing and Networking) 부문의 매출액은 CY3Q21가 $3.8B으로 고점이었다는 점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CY2Q22 CNBU 매출액이 이를 상회할 것인지가 실적 평가에 또다른 관전 포인트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메모리 반도체 시장에 대한 긍정과 부정
마이크론은 지난 분기에 이어 CY2Q22에도 분명 긍정적인 시장 전망을 제시하고 있다. 모바일 및 PC 수요가 부진하나 서버 수요는 여전히 양호하고, 장비 리드 타임 증가 및 예측 불가능한 공급 환경의 불확실성(키옥시아 라인 오염 등)이 메모리 반도체 수급 밸런스를 유지시킬 것이라는 전제가 배경일 것이다. 당사는 반도체 업종 투자의견 Neutral을 유지하고 있으며, 그 이유는 공급을 제한하는 요인들도 증가했지만 최근 인플레이션 우려에 따른 금리 인상 속도가 빨라지고 있고, 그에 따른 유동성 축소가 최종 수요에 대한 불확실성을 확대시킬 것이며, 세트 업체들이 느끼는 원가 절감에 대한 니즈가 CY2Q22 들어서면서 더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기 때문이다.
'주식과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제철(004020) 1Q22 Preview : 전쟁에 대한 기대감이 부담 (0) | 2022.04.02 |
---|---|
우리금융지주(316140) 최대실적 지속 경신 예상 (0) | 2022.04.02 |
카이노스메드(284620) 파킨슨병 대장? 카이노스메드가 있다 (0) | 2022.04.01 |
더존비즈온(012510) 성장이 그리운 과도기 지속 (0) | 2022.03.31 |
제약/바이오 - 디지털헬스케어 Corp-day 후기 (0) | 2022.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