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과 경제

현대제철(004020) 1Q22 Preview : 전쟁에 대한 기대감이 부담

by 덕민강 2022. 4. 2.
반응형

 

 

출처 : 메리츠증권 리포트

 

 

1Q22 연결 영업이익은 7,003억 원을 기록하며 컨센서스(6,252억 원)를 상회할 전망

다만 3월 당진제철소 사고가 판매량에 주는 영향은 아직 불확실

2Q22 중 자동차 강판 협상 기대감 남아있으나 원재료 가격 온전히 반영 어려움

러시아 사태로 인한 유럽 가격 상승보다 자동차 강판 수요 불확실성에 주목

견조했던 주가 흐름이 이제는 부담. 투자의견 Buy, 적정주가 67,000원을 유지

 

 

1Q22, 호실적 예상되나 불확실성은 잔존

1Q22 연결 영업이익은 7,003억 원(-9.3% QoQ)을 기록하며 컨센서스(6,252억 원)를 상회할 전망이다. 판재류와 봉형강류 모두 원재료 가격 상승으로 스프레드가 각각 -7.8% QoQ, -5.8% QoQ 감소할 예정이다. 다만 봉형강류에서의 판가 상승(+1.6% QoQ)과 판매량 회복(4.6% QoQ) 효과가 감익 폭을 예상보다 완화시킬 전망이다. 다만 3월 당진제철소 사고가 판매량에 주는 영향이 아직 불확실하다는 측면은 리스크 요인으로 남아있다. 감익 기조는 3Q22까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2Q22 중 자동차 강판 협상에 대한 기대감이 남아있으나 급등한 원재료 가격을 온전히 반영하는 수준의 인상은 어려울 가능성이 높다.

 

 

자동차 강판 수요에 드리워진 그늘

러시아 사태 이후 유럽 철강 가격 상승에 대한 기대감이 주가 흐름에 반영되고 있다. 그러나 아시아 철강사들의 수혜 폭은 크지 않다.

오히려 1) 유연탄 등 원재료 가격 급등, 2) 러시아 공장 가동 차질, 3) 러시아산 팔라듐 공급부족 등으로 인한 자동차 생산량 감소가 차량용 강판 수요에 미칠 악영향이 더 유의미하다. CoVID-19 이전 분기별 100만톤 수준을 기록하던 자동차강판 판매량은 80만톤 수준으로 내려왔으며 2022년 내 회복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수요 불확실성 대비 견조했던 주가 흐름이 이제는 부담

밸류에이션 매력은 긍정적이다. 다만 수요 불확실성(러시아 사태, 중국 부동산 경기 부진) 대비 그동안 주가 흐름이 견조했기 때문에 단기적으로는 숨을 고르는 주가 흐름이 예상된다. 투자의견 Buy, 적정주가 67,000원을 유지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