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출처 : 하이투자증권 리포트
• 동사의 1분기 지배지분순이익은 8,001억 원으로 컨센서스 부합하는 실적 예상
• NIM은 전분기와 비슷한 수준으로 예상되나 이는 작년 4분기 발생한 연체 이자 일시 회수 영향으로 판단하며 마진 개 선 기조는 변화가 없음. 오히려 2분기 NIM은 타사 대비 큰 폭으로 개선될 개연성이 높아짐
• 대출성장은 분기 중 가계 0.2%, 기업 1.8% 성장하며 가계대출 가이던스 영향이 이어지는 모습. 연간 성장 가이던스를 높게 제시하지 않았기 때문에 충분히 성장 목표치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
• 분기 중 일회성 요인으로는
1) 증권 자회사 채권 평가손실 600억원,
2) 지난해 4분기 실시하지 않았던 명예퇴직 비용 1,600억원,
3) 외화환산손실 약 300억원으로 파악되며 여러 일회성 요인을 반영하고도 경상적 수준의 이익 달성이 예상됨
• 동사는 금리 민감도가 상대적으로 커 Top line 성장이 기대되며 연간 4조원으로 관리되는 Bottom line으로 레버리지 효과도 돋보일 것.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60,000원을 유지.
반응형
'주식과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솔루스첨단소재(336370) 1분기를 바닥으로 하반기 이익 개선폭 확대 (0) | 2022.04.05 |
---|---|
카카오뱅크(323410) 우호적인 환경이 조성되는 중 (0) | 2022.04.04 |
현대제철(004020) 1Q22 Preview : 전쟁에 대한 기대감이 부담 (0) | 2022.04.02 |
우리금융지주(316140) 최대실적 지속 경신 예상 (0) | 2022.04.02 |
마이크론(MU) 긍정과 부정 (0) | 2022.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