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주식과 경제435

텔코웨어(078000) 2022년 회복의 시기 출처 : 이베스트투자증권 리포트 2022년에는 기저효과로 회복되는 시기 텔코웨어는 모바일의 음성통화 기능과 무선통신이 가능하게 하는 기본적인 Core 솔루션(소프트웨어)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으로 안정성이 매우 높다. 다만, 2020년 ~ 2021년 코로나 이슈로 인한 전방 고객사의 Core 솔루션 투자가 지연되면서 과거와는 다른 모습의 부진한 실적을 기록하였다. 이에 2022년에는 5G Core 환경에 맞춰서 리뉴얼 핵심망에 대한 수요(교체)가 진행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 실적측면에서는 강한 회복이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다만, 동사의 성장성이 확대되기 위해서는 5G 환경하에서의 IT Device가 보급화되어야 하는데, 아직은 시간이 조금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신규 5G관련 Core 가상화 솔.. 2022. 4. 7.
현대차(005380) 일당백이 되어가는 제네시스 출처 : 하이투자증권 리포트 1Q22 Preview : Q는 부진했으나 제네시스 성장으로 P확보 동사 1Q22 실적은 매출액 30.2조 원(YoY +10.1%, QoQ -2.8%), 영업이익 1.60조 원(YoY -3.3%, QoQ +4.8%)을 기록하며 시장 기대치(매출액 30.5조 원, 영업이익 1.67조 원)에 부합할 것으로 전망한다. 1Q22 글로벌 출고판매량은 차량용 반도체 쇼티지 현상 유지에 3월에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러시아 공장(HMMR) 가동 중단, 중국발 와이어링 하네스 수급 차질까지 가세하면서 전년 동기 대비 -10.9%를 기록했다. 비록 볼륨 효과에서는 부진이 예상되지만 제네시스 판매량 성장세에 기인한 Mix 개선 트렌드가 지속되고 있음이 고무적이다. 차량용 반도체 쇼티.. 2022. 4. 6.
카카오게임즈(293490) 대만 안착에 성공한 '오딘' 출처 : 유진투자증권 리포트 1Q21 Preview : 신작 부재, 오딘(국내) 매출 하향 카카오게임즈 1분기 실적은 매출액 2,731억 원(+109.9%yoy), 영업이익 512억 원 (+228.0%yoy, OPM 18.7%)를 전망한다. 영업이익 기준 컨센서스(520원)에 부합하는 전망 치다. 1분기 신작 부재와 함께 오딘(국내) 매출이 하향 안정화되면서 지난해 4분기 대비 매출액은 소폭 감소하겠으나, 인건비 등의 비용감소로 영업이익은 개선될 전망이다. 오딘(국내)은 현재 플레이스토어 매출 순위 4위를 기록하고 있지만, 2월 초까지 앱마켓 매출 순위 2위를 기록하는 등 양호한 매출을 기록해 일평균 매출액은 십억원 중반으로 추정했다. 관전 포인트 : 2분기는 오딘(대만), 3분기는 우마무스메 카카오게임.. 2022. 4. 6.
효성화학(298000) 희망의 눈높이는 상반기보다 하반기로 출처 : 하이투자증권 리포트 • 1분기 영업이익 65억원(흑자전환QoQ, -89.3%YoY)으로 컨센서스 264억원 대폭 하회할 것으로 예상 • PP/DH : 영업적자 -91억원으로 전 분기 이어 적자지속. 국내 공장은 정상적으로 생산활동 이루어졌으나, 베트남은 DH 설비 정기보수로 실제 가동률은 전 분기에 이어 약 30~40% 수준 그쳤던 것으로 파악. 전방수요 둔화 및 신규 공급 물량 유입으로 PP 가격은 소폭 하락한 반면, 유가 상승으로 프로판 가격은 대폭 상승해 스프레드 축소 불가피했을 듯 • 베트남 DH 설비는 보수 이후 정상가동을 시작해 현재 점진적으로 가동률을 상향 중에 있음. 이에 2분기 판매량은 1분기 대비 늘어나긴 하나, full 생산 및 판매가 이루어지는 것은 3분기 이후에나 가능해 .. 2022. 4.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