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주린이373

하나금융지주(086790) 경상적 이익은 성장 트렌드에 부합 출처 : 하이투자증권 리포트 • 동사의 1분기 지배지분순이익은 8,001억 원으로 컨센서스 부합하는 실적 예상 • NIM은 전분기와 비슷한 수준으로 예상되나 이는 작년 4분기 발생한 연체 이자 일시 회수 영향으로 판단하며 마진 개 선 기조는 변화가 없음. 오히려 2분기 NIM은 타사 대비 큰 폭으로 개선될 개연성이 높아짐 • 대출성장은 분기 중 가계 0.2%, 기업 1.8% 성장하며 가계대출 가이던스 영향이 이어지는 모습. 연간 성장 가이던스를 높게 제시하지 않았기 때문에 충분히 성장 목표치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 • 분기 중 일회성 요인으로는 1) 증권 자회사 채권 평가손실 600억원, 2) 지난해 4분기 실시하지 않았던 명예퇴직 비용 1,600억원, 3) 외화환산손실 약 300억원으로 파악되며.. 2022. 4. 4.
현대제철(004020) 1Q22 Preview : 전쟁에 대한 기대감이 부담 출처 : 메리츠증권 리포트 1Q22 연결 영업이익은 7,003억 원을 기록하며 컨센서스(6,252억 원)를 상회할 전망 다만 3월 당진제철소 사고가 판매량에 주는 영향은 아직 불확실 2Q22 중 자동차 강판 협상 기대감 남아있으나 원재료 가격 온전히 반영 어려움 러시아 사태로 인한 유럽 가격 상승보다 자동차 강판 수요 불확실성에 주목 견조했던 주가 흐름이 이제는 부담. 투자의견 Buy, 적정주가 67,000원을 유지 1Q22, 호실적 예상되나 불확실성은 잔존 1Q22 연결 영업이익은 7,003억 원(-9.3% QoQ)을 기록하며 컨센서스(6,252억 원)를 상회할 전망이다. 판재류와 봉형강류 모두 원재료 가격 상승으로 스프레드가 각각 -7.8% QoQ, -5.8% QoQ 감소할 예정이다. 다만 봉형강류에.. 2022. 4. 2.
우리금융지주(316140) 최대실적 지속 경신 예상 출처 : 이베스트투자증권 리포트 최대실적 지속 경신 예상 2022년 1분기 추정 순이익은 8,140억 원으로 시장 기대치를 상회하며 역대 최대실적 달성 예상. 이자이익 증가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충당금 부담이 낮게 유지되고 타 은행지주와 달리 비이자이익 감소 폭 또한 크지 않을 것으로 보여 호실적 시현이 가능할 전망. 구조적 성장과 경상 수익성 개선추세가 지속되고 있어 1분기 실적에 대한 긍정적 평가가 예상되며, 최근 중간배당 기준일을 확정하면서 주주환원 측면에서도 적극적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는 점 역시 고무적 2022년 절대적, 상대적 이익호조 전망 1분기 중 은행 NIM이 5bp 상승하면서 이자이익 성장을 견인할 전망. 추가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감안하면 2022년 연간 NIM은 1.5%에 달할 것으.. 2022. 4. 2.
마이크론(MU) 긍정과 부정 출처 : 이베스트투자증권 리포트 Check Point ● FY2Q22 실적 기대치 상회 ● FY3Q22 가이던스는 상당히 공격적 ● 메모리 반도체 시장에 대한 긍정과 부정 FY2Q22(CY1Q22) 실적 기대치 상회 FY2Q22(CY1Q22) 실적은 매출액 $7.8B(+1%QoQ), 영업이익 $2.8B(+1%QoQ), EPS $2.14로 시장 컨센서스 및 기존 가이던스를 상회했다. DRAM 출하량은 전분기대비 한 자리수 후반 증가했고 ASP는 전분기대비 한 자리수 중반 하락했으며, NAND 출하량은 전분기 수준이었으나, ASP는 전분기대비 한 자리수 중반 상승했다. FY3Q22(CY2Q22) 가이던스는 상당히 공격적 FY3Q22 가이던스는 매출액 $8.7B ± $200M, EPS $2.46 ± $0.10.. 2022. 4.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