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주린이373

SK텔레콤(017670) 서비스 융합으로 성장 동력 확보 출처 : IBK투자증권 리포트 5개 사업 제시 2021년 인적분할로 SK텔레콤은 그동안 추진해왔던 비통신사업은 신설 법인에 넘기고 통신사업에 전념하게 되었다. 그래서 계열사도 유선통신 서비스를 담당하는 SK브로드밴드를 중심으로 비교적 단촐해졌다. 그렇지만 현상유지가 아닌 통신산업을 기반한 성장이 가능한 산업군으로 사업을 확장 재편한다는 방침이다. SK텔레콤이 제시한 사업은 유무선통신 서비스, 미디어, 엔터프라이즈, AIVESRSE, 커넥티드다. 시너지로 성장할 융합 사업 통신은 안정적인 산업으로 평가받는 반면 성장성은 떨어진다고 인식되고 있다. 본래의 사업에서는 성장성이 낮은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확장성에서는 그렇지 않다. 다만 수요가 있어야 한다는 전제가 붙어야 하는데, 통신을 필요로 하거나 있어야만.. 2022. 3. 29.
스마트폰 시장 동향 - 1Q22 출하량 YoY 역성장 전망 Check Point 1) 1Q22 출하량 YoY 역성장 전망 2)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영향 3) 중국 주요 도시 락다운 영향 4) 삼성의 GOS와 Geekbench 퇴출 이슈 ● 1Q22 글로벌 스마트폰 출하량 전망 : 1Q22 310~315M (-11.9%YoY~-10.5%YoY, -15.0%QoQ~-13.7%QoQ) 1Q22 스마트폰 시장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 및 중국의 코로나 상황 악화가 지속됨에 따라 전년 대비 역성장이 예상된다. ● 러시아, 우크라이나 스마트폰 시장 판매량 전망 : 러시아 ’22년 27.0M(-33%YoY), 우크라이나 ’22년 5.8M(-41%YoY)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사태가 장기화됨에 따라 해당지역(‘21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스마트폰 출하량 50M, 글.. 2022. 3. 28.
SKC(011790) 2022년 1분기 우려보다 견조해! 출처 : 유안타증권 리포트 2022년 1분기 예상 영업이익 1,302억 원 2022년 1분기 예상 실적은 ‘매출액 8,387억 원, 영업이익 1,302억 원(영업이익률 15.5%), 지배주주 순이익 500억 원’ 등이다. 영업이익 추정치는 전년동기 818억 원과 직전분기 996억 원 대비 각각 51%와 31% 증가하는 수치이다. 부문별로는 ‘정밀화학 754억 원(전분기 893억 원), 동박 235억 원(전분기 205억 원), 기타소재 313억 원(전분기 △102억 원)’ 등이다. 국제 유가, 구리 가격 등 비용 부담이 커지는 상황 속에서도 견조한 실적이다. 다만, 2022년 화학 감익과 동박부문 투자비 부담 증가 등을 고려해, 목표주가 14.5만원(Hold)을 유지한다. 1분기, 정밀화학 부문은 수출 다.. 2022. 3. 28.
오리온 (271560) 우려보다 견고한 성과 출처 : 유안타증권 리포트 우려대비 견고한 실적 2월 오리온의 합산 매출은 전년동기비 8% 증가한 1,637억 원, 영업이익은 12% 성장한 197억 원 기록. 우려대비 견고한 실적 달성. 중국을 제외한 지역이 성장 견인. 법인별 전년동기 매출성장률 한국 +9%, 중국 +1%, 베트남 +20%, 러시아 +32% 기록. 중국은 현지통화 기준 하이싱글 감소 추산, 전년도 기저 부담 및 출고 조절 영향. 전사적으로 제조원가율 상승, 유틸리티 단가 인상, 물류비용 상승 영향 존재했으나, 비용 효율화 동반되며 합산 이익률은 개선. 법인별 전년동기 이익성장률 한국 -15%, 중국 +56%, 베트남 +50%, 러시아 +8% 기록 외부 변수 부담은 여전 외부 영향에 따른 부담 지속. 우선적으로 지정학적 리스크에 따라 .. 2022. 3. 27.
반응형